다우 이론과 6가지 국면은 결국 프렉탈 이론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코인 투자 그 이전에 주식 투자에서까지 투자자들이 참고하는 모든 이론들은 과거 차트를 기반으로 형성되었고, 과거 차트의 모양새를 참고하여 전략을 수립하는 방식을 과거 프렉탈을 참고한다라고 합니다.
따라서, 차트의 단기 반등할 지점을 찾는 "기술적 분석"에 있어서 과거 차트를 분석하는 것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런 시장의 흐름은 다우 이론을 바탕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다우 이론을 바탕으로 국면을 파악한다는 것은 장기적 관점에서 가격의 방향성을 예측해본다는 것에 목적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승 국면이라고 한다면 상승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기반으로 눌림롱을 잡거나 하락 국면이라고 파악이 되면 오름숏을 잡는 등의 전략을 수립할 수 있게 됩니다.
즉, 현재 시점에서의 추세 매매와 역추세 매매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 입니다.
다우 이론
다우 이론은 주식 시장의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고 예측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적 분석 방법으로, 찰스 다우가 창시한 다우존스 평균 주가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다우 이론은 시장이 상승세일 때 고점과 저점이 상승하고, 하락세일 때 고점과 저점이 하락한다라는 개념을 기반으로 시장의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할 수 있다는 이론입니다.
시황 분석을 읽다보면 특정 저점이 깨지지 않는 한 상승을 볼겁니다 혹은 특정 고점이 깨지지 않는 이상 하락이 우세할거라고 생각됩니다 와 같은 문장을 많이 보았을텐데, 이는 다우 이론을 기반으로 한 분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우 이론의 대전제
- 평균은 모든 것을 반영한다
- 이 부분은 아래 링크의 내용을 발췌했습니다 (개인 투자를 하며 매우 중요한 내용이라고 생각됩니다)
- https://www.imfnsec.com/systemtrade/st02090201.jsp
- "다우 이론에 따르면 시장에서 예상되고 있거나 이미 알려진 모든 정보는 시장 평균에 모두 반영되어 있으며, 예상치 못한 하나의 사건이 일어나면 이는 즉각적으로 시장에 반영된다.
- 이것의 의미는 흔히 우리는 어떤 상승 요인이 되는 재료가 발생하더라도 가격이 상승하지 않고 하락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 이것은 미래 가격에 대한 "예상" 에 따라 시장 가격이 변동되는 것이므로 전혀 이상하거나 잘못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연스러운 것이다.
- 어떤 종목이나 상품에 대해 상승 요인이 나오는 재료의 성장 기대치가 가령 5% 이었다면 이러한 기대요인에 따라 이미 가격은 형성되어 있는 상태이고 실제 발표는 3% 에 나왔다면 오히려 가격하락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 그러므로 다우 이론에 따라 분석한다면 뉴스가 나오는 시점을 잡아 거래하는 방법보다는 앞으로 나올 예상 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통계 분석이 훨씬 신뢰도가 높을 것이라는 것을 제시해 주고 있다."
- 시장은 참가자의 행동, 심리 상태 등 모든 정보를 반영한다
- 다우 이론은 주가를 통해 시장의 상황, 경제 상황 등을 파악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 시장은 일정한 추세를 갖고 추세는 상승, 하락, 횡보로 나뉜다
- 추세를 정확하게 파악한 투자자들은 향후 주가의 방향성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추세에 맞는 전략을 통해서 더 큰 수익을 가져갈 수 있게 됩니다
- 거래량은 시장 가격 추세 변동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 거래량에 관련된 부분은 추후에 포스트로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기존의 가격 추세는 전환될 때까지 계속된다
- 지수는 상호 연관성이 있고, 관계를 통해 시장 상태를 파악한다
- 다우 지수에 관한 내용입니다
- 다우 지수는 주요 주식들의 가격을 평균하여 계산합니다
- 평균은 다우 이론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개념으로 시장의 전반적인 상황을 보여준다고 주장합니다
- 다우 지수는 투자자들이 시장의 상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매수 매도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 암호화폐 투자에 활용되는 개념은 아닙니다
다우는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 상태를 위와 같이 6가지의 국면(Phase)로 나눠서 파악합니다.
이 6가지 국면이 하나의 사이클을 이뤄서 계속 순환합니다.
다우 이론의 6가지 국면
- 매집 국면: 시장에 공포심이 막연하고 합리적인 판단을 할 수 없는 시기
- 일반적으로 하락장에서는 평범한 투자자들(개미)은 보유하던 종목을 포기하고 헐값에라도 매도하려는 경향이 강함
- 반대로 전문 투자자들은 개미들이 던지는 물량을 매집하면서 저렴한 가격에 개미들의 물량을 받아먹음
- 따라서 겉으로 보이는 시장 상황은 굉장히 안 좋은 상태로 비춰지게 됨
- 역설적이지만 다우 이론에 다르면 사람들이 패닉셀(panic sell)하는 시점이 강세 시장의 첫 번째 국면임
- 코로나 쇼크가 그 예시
- 공포심이 막연한 것을 매집 국면이라고 파악하고 물량을 매집하는 투자자들은 돈을 벌고, 공포심으로 인해 투자를 포기하는 투자자들은 기회를 못 잡게 되는 것임
- 상승 국면: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시장에 반영되는 시기
- 매집 국면에서 악재로 작용한 요소들이 하나 둘씩 해소되기 시작함
- 결제 불황이 차츰 해결되고 기업들의 재정 상태도 회복됨
- 따라서, 일반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함
- 관심의 증가는 차트에서 거래량으로 나타나고 거래량이 높아짐에 따라 가격도 상승함
- 상승 국면의 절정 부근에서는 신고가를 갱신하는 종목이 나타남
- 상승 국면은 일반 투자자들에게도 기회의 장이 됨
- 투자를 공부하는 이유도 기본적으로 시장 국면을 판단하고 시장의 흐름에 탑승하기 위함에 있음
- 일반 투자자들은 상승 국면에서 크게 두 가지 모습을 보이게 됨:
- 매수를 망설이는 부류: 이전 사이클의 하락 국면에서 큰 손실을 입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트라우마로 매수를 망설이게 됨
- 적극적으로 매수하는 부류: 매집 국면에서 매집했던 물량들을 이때부터 조금씩 현금화(매도)하기 시작함
- 상승 국면이 고조되기 시작하면 결국 시장은 과열 국면에 집입하게 됨
- 과열 국면: 시장이 과열된 것을 모른채 엄청 적극적으로 매수하는 투자자들이 많은 시기
- 과열 국면에서는 모든 시장의 지표가 상승을 가리키게 됨
- 투자 경험이 없는 개미들도 뉴스나 주변 이야기를 듣고 적극적으로 시장에 참여하니 내재 가치가 낮은 종목들도 덩달아 가격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게 됨
- 21년도 5월이 그 예시임
- 전문 투자자들은 과열 국면에 대부분의 물량을 정리함
- 곧 터질 폭탄을 전문가들이 일반 개미들에게 떠넘기는 시기
- 분산 국면: 가격 거품이 터지기 시작하면서 엄청난 낙폭을 보이는 시기
- 과열 국면 시기와는 달리 경제 지표가 좋지 않고 점점 매수하려는 사람은 줄고 매도하려는 사람은 늘어나게 됨
- 가격 거품이 터지기 시작하면서 엄청난 낙폭을 보임
- 따라서 다시금 시장에는 공포가 도래하기 시작함
- 공포 국면
- 여기서 일부 투자자들은 지금 하락은 그냥 건강한 조정일뿐이라고 생각하고 적극적으로 매수하기도 함
- 전문 투자자들은 하락폭을 가늠하면서 다시 매집 국면을 준비하기 위한 전략을 세움
- 공포 국면이 길어지다 보면 침체 국면이 시작됨
- 침체 국면
- 지친 개미들의 실망 매물이 계속 나오게 되면서 주가는 하락하고 시장에는 온통 개미들의 곡소리만 가득한 시기가 됨
- 하지만 시장의 사이클은 계속 순환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하락폭은 줄어들며 다시 시장이 전환되는 시기가 오게 됨
- 하락폭이 저점에서 둥글게 말리면서 상승을 위한 변곡이 생기게 됨
- 침체 국면의 마지막 시기가 오면 차트를 봤을 때 가격은 그대로인데 전체 거래량은 많아지게 되는 이상한 현상을 발견하게 됨
- 일반 투자자들은 공포에 빠져서 매도를 이어가고 있지만 전문 투자자들(세력)들이 다시 그 매도 물량을 받아먹고 있다는 뜻임
- 침체 국면이 충분히 진행되면 다시 매집 국면이 시작됨
Reference
다우 이론의 기본 개념
다우 이론은 투자와 경제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특히 주식 시장에 관한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찰스 다우(Charles Dow)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다우 지수(Dow…
wikidocs.net
iM증권
주식, 선물, 외환시장 등 다양하게 적용되는 다우이론에 대한 강좌입니다. 다우이론의 개념 실제적으로 모든 기술적 분석의 시작은 다우이론을 알고 난 후에야 시작하는 것이 순서일 것이다. 가
www.imfnsec.com
You should take the approach that you're wrong. Your goal is to be less wrong.
- Elon Musk -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인 투자] 1. 내가 다시 보려고 저장해두는 코인 투자 참고 자료 (0) | 2025.05.05 |
---|---|
[매매일지] 13. 비트야 멘징 좀 하자 (0) | 2025.03.18 |
[매매일지] 12. 역시 롱은 역추세였다.. (0) | 2025.03.17 |
[매매일지] 11. 롱차..? (0) | 2025.03.16 |
[매매일지] 10. 숏차 (0) | 2025.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