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코인 투자] 18. 이동평균선 +a

dongsunseng 2025. 2. 1. 23:34
반응형

이동평균선은 캔들의 평균값을 선으로 나타낸 것

 

차트 분석에 있어서 뼈대라고 할 수 있음

 

50 이동평균선 = 50개의 캔들 평균값을 선으로 나타낸 것
100 이동평균선 = 100개의 캔들 평균값을 선으로 나타낸 것

 

차트에 표기되는 모든 지표는 "평균"에 대한 각자 다른 산술값으로 시각화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음

 

평균이란 결국 추세를 나타내기 때문에 아주 중요함

 

평균값보다 캔들이 상향하고 있다면 상승의 추세를 나타내게 됨

 

평균값보다 캔들이 하향하고 있다면 하향의 추세를 나타내게 됨

 

위에서 볼 수 있듯이 이동평균선만 띄워도 추세가 훨씬 눈에 잘 보임: 이동평균선이 가격을 누르면서 계속 하향 추세를 나타냄 + 이동평균선이 받쳐주면서 계속 상향 추세를 나타냄

 

평균값에 대한 유동의(움직이는) 매물대가 받쳐주고, 눌러주면서 현재의 캔들 가격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음

 

즉, 움직이는 지지와 저항의 역할

 

 

위의 차트에서는 상승 추세 중 유동의 매물대인 이동평균선에서 지지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반대로 위의 차트에서는 하락 추세 중 유동의 매물대인 이동평균선에서 저항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따라서, 평균값의 추세는 단일단위의 캔들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는 것임

 

시간의 힘: 짧은 단위의 캔들보다 여러 개의 합으로 이루어진 이동 평균선이 힘이 더 쎔

 

추세는 한 방향으로 가고자 하는 힘이기 때문에 지지와 저항이 여러차례 발생함

 

하지만 영원한 추세는 없기 때문에 추세의 변곡, 사건은 반드시 일어나게 됨

 

위와 같이 이동평균선만 띄워서 보는 것이 추세를 파악하는데 더 효과적일 수 있음

 

추세의 전환점에 매수를 들어가거나 매도에 들어간다면 추세가 시작점에서 길게 수익을 끌고 갈 수 있는 전략이 세워지는 것임

 

이동평균선이 상승 추세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 캔들이 이동평균선 위에 있어야 함
  • 다시 말해, 캔들이 이동평균선을 상방돌파할 때 변곡의 단초가 될 수 있다는 것임

 

캔들이 이동평균선을 가로지를 때를 기다려서 추세의 시작점에 매매할 수 있다는 것이 "추세추종"이라는 개념


I will be with you. When you pass through the waters. And through the rivers. And when you walk through the fire. 
<Isaiah 43 :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