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투자 24

[코인 투자] 24. 알트코인 vs. 비트코인

많은 사람들은 코인 투자를 시작하면서 비트코인의 변동성에 대한 고려 없이 알트 코인으로 눈을 돌림 알트 코인은 수익률이 크고 가격이 낮아서 접근하기 쉽다 등의 이유로 많은 사람들이 알트코인으로 시작함 최근 기사에서도 한국인의 70%는 비트코인 보다 알트코인 투자를 선호한다는 기사가 나올 정도임 하지만 이것은 사실 도박성 투자나 다름이 없음 비트코인이 차지하는 시장의 중요성, 기술적 분석의 원리 등을 이해하지 않은 상태에서 알트 코인으로 뛰어드는 것은 굉장히 위험한 행동임 기술적 분석이란 과거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의 가격 움직임을 예측하는 기법임 말 그대로 데이터의 신뢰도가 중요함 만약 신뢰도가 떨어지는 알트코인의 차트를 보고 분석을 한다면, 그 분석이 정확할 가능성은 매우 낮음 그렇기 때문에 비트코인..

투자 2025.02.04

[코인 투자] 23. 리스크 관리

수익이 나면 즉시 재투자를 하는 것을 불타기 방식이라 하고 복리 효과를 활용하는 것임 이는 굉장히 위험한 방식의 투자임 즉, 시장 앞에서 겸손하지 못하고 오만한 생각으로 시장을 바라보는 것임 이외에도 투자에 지나친 자신감과 오만함 또는 벼랑 끝에 서있는 심정으로 굉장히 리스크가 큰 방식으로 투자하는 사람들이 많음 열심히 만든 수익과 원금을 잃지 않으려면 자신만의 투자 룰을 정립해야 함 1. 목표 금액과 기간을 정해두고 출금을 생활화 해야 함복리의 마법: 100만원으로 시작하여 월 수익률이 10%만 된다고 가정해도 복리로 인해 상당히 빠른 속도로 계좌가 불려 나가는 것을 말함언뜻 듣기로는 그저 달콤한 얘기로만 들릴 수도 있지만 이건 개미들의 돈을 노리는 큰 손들이 복리의 마법이라는 달콤한 말로 목돈을 장기..

투자 2025.02.04

[코인 투자] 22. 세력과 개미

다우이론을 따르면 시장 상황과 투자자들의 심리에 따라 차트는 변함 하지만 자본이 많은 세력들에 의해서 차트는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음 시총이 작다는 것은 시장 참여자들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을 의미함 자본이 많다면 이런 종목들의 가격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게 됨 따라서 우리는 소위 말하는 잡주, 잡코인을 조심해야 되는 것임 세력들은 참여자가 적은 가벼운 종목들을 횡보장에서 가격이 쌀 때 물량을 조금씩 모아나감 매수와 매도는 1:1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기들끼리 사고 팔면서 가격을 의도적으로 올릴 수 있음 기술적 분석에 무지한 사람들은 세력에 당하기가 쉬움 뉴스에 나오거나 유명세를 타게 되면 개미들이 달라붙기 시작함 세력들이 의도적으로 뉴스를 내고 개미들이 관심을 가질 때부터 세력은 물량을 정리하고 도망..

투자 2025.02.04

[코인 투자] 21. 손익비

예를 들어, 10만원의 이익과 5만원의 손실이 발생했다면 10 : 5 = 2 : 1 이기 때문에 2가 됨 6%의 상승과 2%의 하락이라면 3이 됨 위 차트에서 1. 하락 쐐기형 차트 패턴 2. 1시간봉 상승 다이버전스 3. 엘리어트 파동에서의 조정 파동이 끝났다는 3가지 관점으로 하단 지지선에서 반등이 나올 것을 예상할 수 있음이런 경우 하단 지지 추세선을 확정 이탈하면 손절, 상단 저항 추세선을 도달하면 익절을 할 수 있음 그렇다면 대략 0.5%의 손실률로 내 관점이 틀리고, 관점이 맞아 상단 저항 추세선까지 도달할 시 6.7%의 수익을 낼 수 있기 때문에 손익비는 대략 1:13의 롱 포지션을 생각해볼 수 있음  위 차트에서는 1. 상승 쐐기형 차트 패턴 2. 일봉 하락 다이버전스 3. 상승 추세선 라..

투자 2025.02.04

[코인 투자] 20. 수익의 확정과 손절

트레이딩의 목적은 수익을 발생시켜 계좌를 우상향시키는 것임 (본질) 수익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차트 분석과 매매 타이밍도 중요하지만, 수익을 확정하는 행위가 반드시 동반되어야 함 그래야만 누적 수익률이 쌓이고 계좌는 안정적인 상승 곡선을 그리게 됨 또한, 손절도 꼭 필요한 행위라는 것을 명심해야 함 기본적으로 손절은 돈을 잃는 것이기 때문에 거부감이 있을 수 있음 가치 투자가 아닌 트레이딩에 있어서 수익률을 누적해서 시드를 불리기 위해서는 관점이 틀렸을 때 정확한 손절이 필요함 이는 시드를 최대한 보호하기 위함임 트레이딩을 기회를 사는 행위라고 규정할 때 손절 타이밍을 놓쳐서 운용하는 시들르 활용하지 못하고 묶여있다면 우리는 기회비용을 잃게 되는 것임 "수익의 확정" 혹은 "정확한 손절" 둘 중 하나의 ..

투자 2025.02.04

[코인 투자] 19. 심법

처음에는 기술 >>> 심법이지만 어느정도 학습을 하고 매매를 시작하게 되었을 때는 기술  학습을 시작하고 온전한 트레이더가 되어가는 과정의 싸이클을 겪게 됨: 1. 무지에서의 용감함(혹은 무모함)2. 좌절, 절망3. 학습에 대한 욕망4. 학습 후 자신감.5. 실전에 들어갔을 때 두려움6. 손실에 대한 소심함.7. 스스로를 알아가는 과정에서의 괴리감.8. 자연스레 객관적인 시선으로 나를 바라보는 객관화9. 모든 것을 인정하고 시장에 뛰어드는 무덤덤 함. 소심해졌음은 리스크를 인지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기도 하지만, 심리적으로는 위축될 수 밖에 없음 사람들은 빠르게 돈을 벌고 싶어서 리딩방에 가입함 하지만 그 결과가 좋게 마무리될 때는 잘 없음 이는 남한테 의존한 트레이딩, 투자가 이어지게 하고 자립..

투자 2025.02.03

[코인 투자] 18. 이동평균선 +a

이동평균선은 캔들의 평균값을 선으로 나타낸 것 차트 분석에 있어서 뼈대라고 할 수 있음 50 이동평균선 = 50개의 캔들 평균값을 선으로 나타낸 것100 이동평균선 = 100개의 캔들 평균값을 선으로 나타낸 것 차트에 표기되는 모든 지표는 "평균"에 대한 각자 다른 산술값으로 시각화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음 평균이란 결국 추세를 나타내기 때문에 아주 중요함 평균값보다 캔들이 상향하고 있다면 상승의 추세를 나타내게 됨 평균값보다 캔들이 하향하고 있다면 하향의 추세를 나타내게 됨 위에서 볼 수 있듯이 이동평균선만 띄워도 추세가 훨씬 눈에 잘 보임: 이동평균선이 가격을 누르면서 계속 하향 추세를 나타냄 + 이동평균선이 받쳐주면서 계속 상향 추세를 나타냄 평균값에 대한 유동의(움직이는) 매물대가 받쳐주고, 눌러주..

투자 2025.02.01

[코인 투자] 17. 보조지표에 대한 고찰

보조지표는 언제까지나 보조의 역할임 즉, 필수 지표가 아니라는 뜻 초보자가 보조지표를 여러가지 학습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훗날 매매 습관을 구축하고 실전에서 활용할 때 배운 지표들의 특성, 성격들을 비교해보고 본인에게 맞는 지표를 골라서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 결국 가장 중요한 기초는 지지, 저항, 추세, 캔들 그걸 보조하는 것들이 다른 이론들과 보조지표들인 것임 배우는 것이 많아질수록 차트는 지저분해짐 하지만 정리를 하면서 깔끔하게 보는 연습을 하면 문제가 되지 않음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포기한 게 아니라, 포기했기 때문에 할 수 없었던 것이다.- 김계란 -

투자 2025.01.31

[코인 투자] 16. OBV (On Balance Volume)

OBV는 거래량과 가격을 함께 분석하는 지표임 가격이 오르면 그 날 거래된 비트코인의 양을 OBV에 더하고, 가격이 내리면 그 거래량을 빼는 방식임 어제 비트코인 가격이 올랐고(양봉마감), 거래량이 많았다면 OBV 값도 올라감 반대로 오늘 비트코인 가격이 떨어졌고 거래량이 많았다면 OBV 값은 내려감 결국 OBV는 가격과 거래량의 흐름을 동시에 반영하는 지표라고 생각하면 됨 OBV가 올라가고 있다면 많은 사람들이 비트코인을 사고 있다는 뜻임 사람들이 많이 사기 때문에 가격이 더 오르겠구나 라고 예상할 수 있음 반대로 OBV가 내려간다면 사람들이 비트코인을 팔고 있다는 의미임 사람들이 많이 팔고 있기 때문에 이제 떨어질 수도 있겠다 라고 예상할 수 있음실전에서 OBV를 활용하는 방법같은 가격대에서 OBV가..

투자 2025.01.31

[코인 투자] 15. 엘리어트 파동 +a

엘리어트 파동은 이론 자체는 간단해보이지만 이를 주요 무기로 사용하는 트레이더들이 많은만큼 강력한 툴임 현재 가능한 모든 시나리오(방향성)을 생각할 수 있고, 그 중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판단되는 시나리오로 매매에 임할 수 있음 즉, 모든 시나리오에 대한 검토 후, 대응 방법, 즉 손절과 익절을 사전에 생각해서 매매할 수 있다는 것임 엘리어트 파동의 창시자 엘리어트는 시장이 한 사이클의 무한한 반복에 의해 흘러간다고 주장함: 규칙성 위와 같이 5개의 충격 파동과 3개의 조정 파동의 한 사이클이 종료되면 다음 사이클이 등장하게 됨파동의 특성을 활용한 매매법1. 3개의 하락 파동을 기다린 후에 매수를 하면 그 다음 사이클의 상승 파동을 먹을 수 있음2. 매도 포지션을 취한다면(숏), 5개의 상승파동이 등장하..

투자 2025.01.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