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경제] 2. 신탁

dongsunseng 2025. 5. 3. 15:53
반응형

신탁의 정의

신탁(Trust)은 재산 관리를 위한 법적 제도로, 한 사람(위탁자)이 자신의 재산을 다른 사람(수탁자)에게 맡겨서 제3자(수익자)의 이익을 위해 관리하도록 하는 계약입니다.

 

즉, 신탁은 간단하게 생각하면 남의 돈의 법적 소유권을 받아서 수익자의 이익을 위해 돈을 운용하는 방식의 계약입니다.

주요 특징:

  • 위탁자(Trustor): 재산을 맡기는 사람
  • 수탁자(Trustee): 재산을 관리하는 사람이나 기관(은행, 신탁 회사 등)
  • 수익자(Beneficiary): 신탁에서 발생하는 이익을 받는 사람
  • 신탁 재산: 위탁된 자산(현금, 부동산, 주식 등)

금융권에서의 신탁 상품은 은행이나 증권사가 수탁자가 되어 고객(위탁자)의 자금을 운용하는 방식입니다.

 

신탁은 자산 관리, 절세, 상속 계획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이렇게 목적이 굉장히 다양하기 때문에 위탁자와 수익자의 개념을 분리시켜둔 것입니다.

 

위탁자와 수익자가 다른 경우 뿐만 아니라 수익자가 다수인 경우도 존재합니다.

 

위탁자와 수익자가 다른 경우에는 부모가 자녀를 위해 신탁을 설정하는 경우나 기업이 직원의 퇴직금을 위한 신탁을 설정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경우로는 위탁자와 수익자가 동일하고 그 예시는 자신의 노후를 위해 연금 신탁을 설정하거나 일반적인 자산 관리의 목적으로 본인이 수익자가 되는 신탁을 설정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금융 신탁 상품으로는 금전신탁, 부동산신탁, 증권투자신탁 등이 있습니다.

신탁과 다른 금융 상품의 차이점

  1. 신탁 vs. 펀드
    • 펀드는 다수 투자자의 자금을 모아 주식, 채권 등에 투자하는 방식이고, 신탁은 그 목적이 다양한만큼 개별 계약에 따라 맞춤형 자산 관리가 가능합니다.
    • 맞춤형 관리가 가능한 것이 장점이기 때문에 운용 방법을 누가 지정하는지에 따라서도 신탁의 종류가 나뉘게 됩니다.
    • 특정 금전 신탁: 위탁자가 운용방법을 지정하는 금전 신탁
    • 불특정 금전 신탁: 수탁자가 운용방법을 지정하는 금전 신탁
  2. 신탁 vs. 보험
    • 보험은 위험 보장이 주 목적이지만 신탁은 재산 관리와 처분이 주 목적입니다.

신탁 상품의 예시

 

블랙록, 기관 대상 비트코인 현물 신탁 출시..."지속가능 위한 노력 고무적" By TokenPost

블랙록, 기관 대상 비트코인 현물 신탁 출시..."지속가능 위한 노력 고무적"

kr.investing.com

위의 기사를 보면 2022년 8월 블랙록(자산운용사)이 미국 기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비트코인 현물 개인 신탁을 출시한다고 발표한 내용이다. 

 

자산 운용사인 블랙록은 비트코인 현물 개인 신탁을 출시하여, 기관 투자자들의 돈으로 매집을 계획중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Reference

 

미래에셋증권

 

securities.miraeasset.com


You should take the approach that you're wrong. Your goal is to be less wrong.
- Elon Musk -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1. 비트코인 현물, 선물 ETF 상장이 갖는 의미  (3) 2025.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