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시장에 있다 보면 '세력'과 '마켓 메이커'라는 단어를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두 용어의 개념은 혼재되기 쉬우며 그 차이에 대한 부분이 불분명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세력
금융 시장에서 '세력'이라는 단어는 시장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자본력과 정보력을 갖춘 개인이나 기관(단체)를 지칭합니다.
세력의 주요 특징:
- 대규모 자본: 시장 가격에 영향을 줄 정도로 충분한 자금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정보 우위: 일반 투자자보다 더 많은 정보나 내부 정보에 접근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가격 형성 능력: 대량 매수나 매도를 통해 주가나 자산 가격에 일시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세력은 기관 투자자(투자 은행, 헤지 펀드, 연기금 등), 대형 개인 투자자나 자산가 그룹, 기업 내부자나 대주주, 전문 투자 그룹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세력은 위에서 언급했듯이 시장 가격에 의도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자본력이 있기 때문에, 주가 띄우기(pump and dump)와 같은 시세 조작 행위를 통해 일반 투자자(개미)의 매수와 매도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갑작스러운 거래량 증가와 가격 변동이 모두 세력때문은 아니지만, 일반 투자자로써 우위를 점하려면 세력의 의도를 파악하려고 노력하여 이를 경계하며 투자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마켓 메이커 (Market Maker)
마켓 메이커는 금융 시장에서 유동성을 제공하는 것이 주요 역할입니다.
주식, 옵션, 채권, ETF, 암호화폐 등 다양한 시장에서 활동합니다.
기본적으로 마켓 메이커는 증권이나 기타 금융 상품에 대해 항상 매수와 매도 호가를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모든 투자자들은 언제든지 원하는 자산을 사고팔 수 있도록 시장의 유동성을 확보합니다.
하지만 매수와 매도 호가의 차이가 크면 시장의 유동성이 적다는 의미로 원하는 가격에 매수 혹은 매도를 할 수 없는 불편함이 생깁니다.
따라서, 마켓 메이커는 호가 스프레드를 유지합니다.
다시 말해서, 매수가(bid)와 매도가(ask)사이의 차이(스프레드)를 좁게 유지함으로써 거래 비용을 낮추고 시장 효율성을 높입니다.
갑작스러운 대량 매수나 매도 주문이 들어올 때 반대 포지션을 취함으로써 급격한 가격 변동을 완화하는 등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유명한 대형 마켓 메이커로는 시타델(Citadel Securities), Virtu Financial, GTS, IMC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마켓 메이커들은 시장의 원활한 작동을 위한 필수적인 시장 참가자이지만, 때로는 이들의 활동이 이해 상충이나 시장 조작 우려를 불러일으키기도 하여 규제 당국의 감시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세력 vs. 마켓 메이커
- 법적 지위와 규제
- 마켓 메이커: 공식적으로 인정된 시장 참여자로, 규제 기관의 감독을 받으며 특정 의무와 권한을 가집니다.
- 세력: 비공식적인 개념으로, 법적 지위가 없으며 때로는 불법적인 시장 조작 행위와 연관될 수 있습니다.
- 목적과 동기
- 마켓 메이커: 시장 유동성 제공이 주 목적이며, 매수-매도 스프레드에서 소액의 이익을 지속적으로 얻는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 세력: 주로 단기적 가격 변동을 통한 이익 추구가 목적이며, 특정 종목의 가겨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움직이려는 의도가 있을 수 있습니다.
- 거래 방식
- 마켓 메이커: 양방향 호가(매수/매도)를 항상 제시하며 투명하게 운영됩니다.
- 세력: 투명하게 운영될 의무가 없기 때문에 여러 계좌를 통한 분산 매매, 특정 시간대 집중 매매 등 다양한 전략을 사용합니다.
- 시장 기여도
- 마켓 메이커: 시장 안정화, 유동성 공급, 가격 발견 기능 등 시장의 효율적 작동에 기여합니다.
- 세력: 단기적으로 시장을 왜곡할 수 있으며, 본인들의 이익을 위해 소액 투자자들에게 손실을 줄 가능성이 있습니다.
- 투명성
- 마켓 메이커: 공식적으로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활동이 비교적 투명합니다.
- 세력: 신원과 활동이 불투명하여 시장에서 그 존재를 명확하게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개인 투자자들은 세력들을 상대로 어떻게 투자해야 하는가
세력을 경계해야 하는 이유
- 단타 투기 세력들은 단기간에 주가를 급등시킨 후 고점에서 매도하는 Pump and Dump 전략을 구사합니다.
- 주로 유동성이 낮은 소형나/테마주, 알트코인 등에서 활동하는데 이는 유동성이 낮아야 적은 자본으로도 주가를 급등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이런 세력들은 여러 계좌를 이용해 분산 매매하기 때문에 추적이 어렵고, 회사 내부 정보 혹은 개인 투자자들은 알기 힘든 시장 정보를 미리 알고 있기 때문에 포지션을 취할 때 상당히 유리합니다.
개인투자자의 방어 전략
- 유동성 낮은 종목 주의: 암호화폐를 제외한 다른 경우에는 Pump and Dump 등의 주가 조작 전략에 대한 규제가 더 강합니다. 하지만 유동성이 낮은 소형주나 알트 코인의 경우 세력의 가격 조작이 용이하기 때문에 특히 유의하면서 투자해야 합니다.
- 거래량 주의: 개인 투자자는 절대 세력을 이길 수 없습니다. 따라서, 기본적 & 기술적 분석을 하며 세력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때 거래량이 엄청나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갑작스러운 거래량 증가와 가격 급등 등을 유의하며 투자해야 합니다.
I think it behooves one to have an internal locus of control. You think that you have control overyour own destiny.
-Elon Musk-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4. 펀드와 그 종류 (4) | 2025.05.19 |
---|---|
[경제] 2. 신탁 (4) | 2025.05.03 |
[경제] 1. 비트코인 현물, 선물 ETF 상장이 갖는 의미 (4) | 2025.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