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 관련 개념이 충분하지 않았던 나한테 생소했던 용어이므로 정리하고 넘어가겠음
[코인 투자] 11. RSI 와 다이버전스
RSI란 트레이더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보조지표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음 RSI는 차트에서 주가의 고점과 저점을 포착하는데 자주 사용됨 RSI: Relative Strength Index 특정 기간동안 가격 변동의 상대적
dongsunseng.com
RSI 상승, 하락 다이버전스와 관련된 포스트를 보면 매도세와 매수세에 대한 감을 예시를 통해서 잡을 수 있을거라고 예상함
기본적으로 매수세란 '상승 동력', 매도세란 '하락 동력'임
매수세: 사는 사람이 많아지는 현상
- 예를 들어, 100명 중에 80명이 A 코인을 사려고 하면 "매수세가 강하다"라고 표현함
- 매수세가 강하면 가격이 올라가는 경향이 있음: 많은 사람들이 사려고 하기 때문
매도세: 팔려고 하는 사람이 많아지는 현상
- 예를 들어 100명 중에 80명이 이제 팔아야겠다 라고 생각하면 "매도세가 강하다"라고 표현함
- 매도세가 강하면 가격이 내려가는 경향이 있음: 많은 사람들이 팔려고 하기 때문임
실제 시장에서는
- 호가창에서 매수 혹은 매도 주문이 많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
- 또한, 거래량으로도 확인 가능함
- 가격이 오르면서 거래량이 늘어나면, 매수세가 강하다는 뜻
- 가격이 내리면서 거래량이 늘어나면, 매도세가 강하다는 뜻
You either quit or keep going.
They both hurt.
Choose wisely.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인 투자] 30. 거래량 다이버전스 (0) | 2025.02.17 |
---|---|
[코인 투자] 29. 쓰리마켓 패턴 (0) | 2025.02.15 |
[코인 투자] 28. 내림롱 & 오름숏 (1) | 2025.02.14 |
[코인 투자] 27. 바이비트 단방향 모드 & 헷지 모드 (0) | 2025.02.14 |
[코인 투자] 26. 분할 익절 & 강제 청산 (0) | 2025.02.12 |